연구소 소식, 채용공고기타 행사 일정 등에 대한
새로운 소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19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배양섭·이승환교수 선정(보도자료)
작성일 : 2024-12-05 조회수 : 142
첨부 :

<보도자료>


제19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배양섭·이승환교수


배양섭교수 곤충 신종 47종, 미기록종 246종 발견

이승환교수 곤충 신종 122종, 미기록종 311종 발견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소장 현진오)는 2024년 12월 5일 오후 6시 30분 서울올림픽파크텔 아테네홀에서 제19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시상식을 개최한다. 올해 수상자는 곤충학자 인천대 배양섭교수, 서울대 이승환교수 등 2인으로 시상 이래 첫 공동수상이다. 두 교수는 ‘40여 년 동안 우리나라 곤충 연구에 투신하여, 배교수는 한반도 신종 47종, 미기록 246종 곤충을 발굴하였고, 이교수는 신종 122종, 미기록종 311종 발굴하여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구명에 기여’한 공적을 인정받았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패와 상금 5백만 원이 수여된다.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선정위원회(위원장 이우신 서울대 명예교수 외 위원 13명)는 “수상자들은 곤충 분류 및 계통 연구에 헌신하여 많은 신종과 미기록종을 발굴함으로써 한반도 생물다양성 구명에 공헌하였으며, 멸종위기 곤충 보전 분야에도 크게 기여하여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연구와 보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고 밝혔다. 한편, 시상식에서는 (재)숲과나눔(이사장 장재연)이 선정한 생물다양성 연구 분야 장학생인 경북대학교 정재욱씨와 성신여자대학교 정민경씨에게 장학증서를 수여한다. 숲과나눔 석박사과정 인재양성프로그램 일환이며, 장학생들은 등록금과 매월 학습지원비를 받는다. 이날 시상식에는 선정위원과 역대 수상자들을 비롯하여 생물분류학자, 한국교사식물연구회, 한국의재발견식물탐사대, 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 생물다양성교육센터 등의 관계자 60여 명이 참석한다.


☎ 02-3411-8338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신종: 지구상에서 처음 발견한 생물 종


미기록종: 다른 학자가 외국에서 이미 발견하여 보고했지만 한반도에서는 발견한 적 없는 생물 종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소개


동북아생물보전대상 http://koreanplant.info/wordpress/index.php/awards/


‣ 2006년부터 매년,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구명과 보전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수상자는 상패와 상금을 받는다. 제정 취지에 맞는 공적을 세운 누구나 수상할 수 있으므로 전문 연구자뿐만 아니라 동호인 등 일반인 수상도 가능하다. 1-12회까지는 식물 분야에서 신종 및 미기록 식물 발굴과 멸종위기종 보전에 기여한 사람들에게 동북아식물인상을 시상했고, 2018년부터는 전 생물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명칭을 동북아생물보전대상으로 바꿨다. 역대 수상자 및 공적은 다음과 같다.


‣ 역대 수상자 및 공적



○ 제1회 오연숙(2006): 국내 미기록 북방계 희귀식물 “나도여로” 발견

○ 제2회 박수현(2007): 한반도 식물상 및 식물보전 분야 연구와 교육

○ 제3회 구연봉(2008):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조사와 연구

○ 제4회 문순화(2009):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조사와 홍보(기록)

○ 제5회 김창렬(2010):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자생지 내외 보전

○ 제6회 이병천(2011):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학술연구와 자생지 내외 보전

○ 제7회 선병윤(2012): 한반도 식물의 학술연구와 다수의 신종 및 미기록종 발굴

○ 제8회 신현철(2013): 한반도 식물의 학술연구와 국가 적색목록집 발간

○ 제9회 조홍섭(2014): 한반도 식물다양성 및 보전 관련 30여 년 간의 심층 취재 보도

○ 제10회 임형탁(2015): 조도만두나무 등 신종 및 푸른가막살나무 등 미기록종 다수 발견

○ 제11회 최홍근(2016): 유전마름, 제주물부추, 참물부추, 한라물부추 등 신종과 큰마름, 낙동나사말 등의 미기록 수생식물을 다수 발굴하여 대한민국 식물다양성 구명에 공헌

○ 제12회 김영동(2017): 연노랑괭이눈, 추산쑥부쟁이 등 신종 보고, 우리나라 식물다양성 구명 및 멸종위기식물 유전다양성 연구 업적

○ 제13회 이완옥(2018): 부안종개, 황해볼락, 좀수수치 등 신종 및 황점복 등 미기록종 33종을 발굴하여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구명, 멸종위기 담수어 보존 분야 업적

○ 제14회 박규택(2019): 백두뿔나방, 고려잎말이뿔나방 등 120여 종의 한반도 신종을 비롯하여 전 세계에서 신종 곤충 680여 종을 발굴

○ 제15회 우포따오기복원센터(2020): 멸종위기 조류인 따오기의 대량증식, 복원 관련 연구와 재도입

○ 제16회 김명숙(2021): 해조류 신속 5속, 신종 34종, 미기록종 10종 등을 발굴하여 한반도 생물다양성 구명에 기여

○ 제17회 한성용(2022): 30여 년 간 세계적 멸종위기종 수달 보존과 연구에 헌신

○ 제18회 임영운(2023): 호박젖버섯, 침기계충버섯, 배꼽낙하산버섯 등 신종 115종과 붉은달걀광대버섯 등 미기록 진균 190종을 발굴하여 한반도 생물다양성 구명에 기여


목록
이전글 2024년 기간제연구원 채용 공고
다음글 2025년 기간제연구원 채용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