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연구, 생물•생태•환경 IT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생물종-조사-연구-사진

생물종 조사 • 연구

  • 생물상, 생태계 조사
  • 생물인벤토리 구축
  • 생태공간지도 작성
  • 도감 발간, 학술연구
생물다양성-보전-사진

생물다양성 보전

  • 멸종위기종 보전, 관리
  • 외래종 관리
  • 생태계 복원
  • 생물다양성 정책 연구
생물자원이용-사진

생물자원 이용

  • 유용식물 탐색, 수집
  • 대량증식, 재배
  • 전통지식 조사
  • 신품종 특성조사
생물정보IT사업-사진

생물정보 IT

  • 생물•생태 분야 IT 컨설팅
  • 생물종 콘텐츠 제작
  • 생물정보 관련 시스템 구축
  • IT 활용기술연구
생물다양성교육센터_로고

생물다양성교육센터

  • 꽃산행(식물여행)
  • 해외식물탐사
  • 파라택소노미스트 교육
  • 기업체 생태교육

함께 만드는 꽃도감

 

News

2022년 제17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 센터장

한성용 센터장은 19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세계적 희귀동물인 수달 연구과 보전 활동을 통해 멸종위기종 증식기술 개발과 서식지 복원기술 개발에 공적이 크고, 1999년 한국수달보호협회를 설립하여 수달 보호와 응급구조 등의 네트워크 활동을 활발히 해 온 업적으로 선정되었다. 시상식은 2022년 11월 28일 올림픽파크텔에서 진행되었다. 1997년 아시아 최초로 수달 종에 대한 생태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를 계기로 한국의 자연하천에서 살아가는 수달이 생물종다양성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이란 사실을 밝혀냈다. 2005년부터는 한국수달연구센터(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 센터장을 맡아 멸종위기종 증식기술과 서식지 복원기술 개발에도 전념하고 있다.

2019년 3월 1일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

공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식물목록들 간에 서로 다른 학명과 국명을 사용하고 있어 발생되는 혼란을 줄이고자, 여러 자료를 토대로 정리한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을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라는 식물 5,382종류 학명과 국명을 담았습니다. 학명의 오류를 바로잡고 국명은 현행 맞춤법에 따라 수정·선택하였습니다. 또한 여러 학자들의 노력으로 밝혀진 신종과 최근에 들어온 귀화종을 추가하고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식물은 제외했습니다.

  본 식물목록의 이용과 배포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사용하면서 발견되는 학명의 오류, 학술연구에 의한 수정사항, 불편 사항 등 본 식물목록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시면 목록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 하루 이창을 그만 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