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생물보전대상

'동북아생물보전대상 (東北亞生物保全大賞)'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는 2006년부터 매년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연구에 공을 세운 분을 선정하여 ‘東北亞生物保全大賞’을 시상하고 있습니다.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500만원, 2018년 기준)이 수여되며, 본 상의 제정 취지에 맞는 공적을 세운 누구나 수상할 수 있으므로 전문 연구자뿐만 아니라 생물동호인도 수상이 가능합니다.
1~12회까지는 식물분야에서 신종 및 미기록 식물 발굴과 멸종위기종 보전에 기여한 분들께 ‘東北亞植物人賞(동북아식물인상)’이라는 이름으로 시상해 왔고, 2018년 13회부터는 생물 전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상의 명칭을 ‘東北亞生物保全大賞(동북아생물보전대상)’으로변경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선정위원회
- 최홍근(위원장, 식물학,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 이도원(식물학,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이우신(동물학, 서울대학교 교수)
- 한삼희(사회학, 조선일보 논설위원)
- 조홍섭(화학공학, 한겨레 기자)
- 이완옥(동물학, 전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 임 항(전 국민일보 기자)
- 이승환(동물학, 서울대학교 교수)
- 권희정(생물교육학, 생물다양성교육센터장)
- 강승일(경제학, 삼미상사 대표이사)
- 현진오(식물학,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장)
역대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2006~2021년까지 수상하신 분들입니다.
12021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김명숙 교수)

제16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김명숙(제주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25년 동안 국내외 해조류 학술연구에 헌신하여 엷은도박속, 보라색우무털속, 새붉은실속 등 5개의 새로운 속(屬)을 발견하여 명명하고, 우도새민엷은잎, 황해새붉은실, 푸른잎붉은혀, 넓은큰갈파래 등 34종의 신종, 초록방석말 등 10종의 미기록 해조류를 발굴하는 성과를 거둠으로써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구명에 기여
- 25년간 50여 신종/미기록종 발표 및 104편의 연구논문 출판을 통한 해양식물자원 가치 발굴
- 홍조류 계통지리 연구를 통한 개체군 보존 우선순위 제시(현재 진행중)
- 해조류 문헌출판: 유용해조류의 목록, 생물량, 생태사진, 활용 등 정보제공
- 생물자원 주권확립 관련 연구개발 수행(최근 5년간 10건)
- 제주지역 환경문제 관련 연구개발 수행(2009년~현재)
- 미개척생물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2013년~2018년)
- 기초과학 보호학문분야 정책과제 수행(2018년)
- 2018년 제28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2018, 2015년 제주대학교 연구업적 우수교수상 (제주대학교)
- 2018, 2017, 2016, 2011년 (사)한국조류학회 우수논문상 (한국조류학회)
- 2017, 2011년 아시아-태평양 국제조류학회 우수논문상 (APPF)
- 2013년 제10차 국제조류학회 최우수 포스터상 (IPC)
- 2013년 제주대학교 강의평가 우수교수상 (제주대학교)
- 2011년 한국연구재단 WISET 공로상
22020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우포따오기복원센터)

제15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
수상공적
- 2008년 설립 이래 세계적인 멸종위기 조류이자 국내 절멸종인 따오기(Nipponia nippon (Temminck, 1835))를 대량 증식하는 데 성공하였고 2019년부터 자연 방사를 시작하는 등 따오기 복원 관련 연구와 재도입에 뛰어난 성과를 거둠으로써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함
- 2008. 우포따오기복원센터 건립, 따오기 1쌍 도입, 경북대학교 사업위탁
- 2009. 따오기 사육기술 이전 완료
- 2010. 따오기 복원사업 창녕군청 직접운영, 우포늪관리사업소 직제 개편
- 2011. 따오기 유전자다양성 확보를 위한 한중일 국제 세미나 개최
- 2012. 따오기 야생복귀 및 서식지 관리를 위한 한중일 국제 심포지엄 개최
- 2013. 한중 따오기 보호 양해각서 체결 및 따오기 수컷 2마리 추가도입
- 2014. 중국, 일본의 따오기 서식지 현지조사 실시
- 2015. 우포늪 일대 따오기 서식적지 관련 자문회의 개최
- 2016. 따오기분산센터 건립 및 우포늪 일대 따오기 서식지 조성사업 실시
- 2017. 따오기 보유 개체수 300마리, 따오기역사관(전시관) 건립
- 2018. 따오기 야생방사를 위한 관계기관 회의 실시
- 2019. 제1회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실시
- 2020. 제2회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실시
- 2019년 5월 22일 대통령 기관표창 창녕군청 수상
32019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박규택 명예교수)

제14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박규택(강원대학교 명예교수)
수상공적
- 백두뿔나방, 고려잎말이뿔나방 등 120여 신종 곤충을 기록하고, 이를 포함 전 세계에서 신종 680여 종을 기재
- 1983~2007: 강원대학교 교수, 농생대 학장
- 1994~2013: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총괄부원장
- 1998~2006: 한국동물분류학회장; 한국응용곤충학회장; 한국생물다양성협회장 역임
- 2005~2008: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 2007 ~ 2012: 미국 University of Florida 초빙교수
- 송정곤충학상 (1993); 화농상 (1995); 한국곤충학상 (2008); 옥조근정훈장 (2008);
- 삼일문화상 (2015); 은관문화훈장 (2018)
- 『자원곤충학』(2001), 『한국곤충대도감』(2012) 등 총37권
- 남방뿔나방과(Lecithoceridae) 등 분류 관련 논문 350여 편
42018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이완옥 교수)

제13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이완옥(전남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부안종개, 황해볼락, 좀수수치 등 신종기재, 황점복 등 미기록 33종 발굴 및 멸종위기 담수어 보존 분야 연구에 업적
- 2018-현재 : 전남대학교 교수
- 2016-2017 : 한국어류학회 회장
- 2010-현재 :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이사
- 1996-2018 :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1993 : 전북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물고기이야기. 2011, 뜨인돌어린이
-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2006, 지성사
- 물고기랑 놀자. 2006, 봄나무
- 한강에서 만나는 새와 물고기. 2001, 지성사
- 한반도에 출현하는 대황어 Tribolodon brandtii 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2018, 한국어류학회지
- Multi-locus phylogenetic analyses support the monophyly and the Miocene diversification of Iksookimia (Teleostei: Cypriniformes: Cobitidae). 2018, Systematics and Biodiversity
- Occurrence of exotic eels in natural waters of south Korea. 2017, Animal Cells and Systems
-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섭식특징. 2017, 한국어류학회지
- 왕피천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특징.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52017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영동 교수)

제12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영동(한림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연노랑괭이눈, 추산쑥부쟁이 등 신종 보고, 우리나라 식물다양성 구명 및 멸종위기식물 유전다양성 연구에 업적
- 2017-현재 : 한국식물분류학회 부회장
- 1995-현재 : 한림대학교 교수
- 1995-현재 : 한국식물분류학회 이사
- 1995-현재 : 한국식물학회 이사
- 1994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이학박사
- 신종 발표 (가지털괭이눈, Chrysosplenium ramosissimum). 2018, PhytoKeys
- Seed Plants of Natma Taung National Park, Myanmar. 2017, 국립생물자원관
- A checklist for the seed plants of Cambodia. 2016, 국립생물자원관
- Biodiversity of Mt. Popa, Myanmar. 2014, 국립생물자원관
- 식물계통학(역). 2011, 월드 사이언스
-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2007, 아카데미 서적
-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30 microsatellite loci for Plagiorhegma dubium (Berberidaceae). 2018, Applications in Plant Sciences
- Ethnomedicinal plants and traditional knowledge among three Chin indigenous groups in Natma Taung National Park (Myanmar). 2018,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Genetic diagnosis of a rare myrmecochorous species, Plagiorhegma dubium (Berberidaceae): Historical genetic bottlenecks and strong spatial structures among populations. 2018, Ecology and Evolution
-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based on Expressed Sequence Tags in Asparagus cochinchinensis (Asparagaceae). 2017, Applications in Plant Sciences
- Cissus erecta (Vitaceae), a new non-viny herbaceous species from Mt. Popa, Myanmar. 2016, Phytotaxa
62016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최홍근 교수)

제11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최홍근(아주대학교 명예교수)
수상공적
- 유전마름, 제주물부추, 참물부추, 한라물부추 등의 신종과 큰마름, 낙동나사말, 동아나자스말, 큰톱니나자스말 등의 미기록 수생식물종 다수 발견
- 2017-현재 :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 2008-2010 : 한국식물학회 회장
- 2003-2004 : 한국식물분류학회 회장
- 1991-2017 : 아주대학교 교수
- 1986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1981-1991 : 경남대학교 교수
- 낙동강의 수생식물. 2014, 한림원출판사
- 환경과 사회. 2007, 오름
- 수생관속식물: 한국의 식물 V. 2000, 정행사
- 생물과 환경 그리고 생물다양성. 1994, 아주대출판부
- Biogeography of North Pacific Isoetes (Isoetaceae) Inferred from Nuclea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 Data. 2016, Journal of Plant Biology
-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Indian Isoetes dixitei Shende based on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nd intron sequences of LEAFY. 2013, Aquatic Botany
- Recognition of two major clades and early diverged groups within the subfamily Cyperoideae (Cyperaceae) including Korean sedges. 2013, Journal of Plant Research
- Molecular systematics and character evolution of Typha (Typhaceae) inferred from nuclear and plastid DNA sequence data. 2011, Taxon
- Speciation pathway of Isoetes (Isoetaceae) in East Asia inferred from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2010, American Journal of Botany
72015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임형탁 교수)

제10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임형탁(전남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조도만두나무 등 신종, 푸른가막살나무 등 미기록종 다수 발견
- 1989-현재 : 전남대학교 교수
- 1988 : 東京大學 이학박사
- 한국식물지 국화아강 국화과. 2017, 정행사
- 생명과학(지구의생명)(역). 2015, 탐구당
- 한국산림자원식물특성연구(4). 2012, 임창피앤디
-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Ⅰ-Ⅸ). 2004-2011, 뜰문화, 국립수목원
- 한국 지네발란의 송분자와 결실률에 관한 연구. 2019, 한국생태학회지
- Taxonomic recognition of 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 on Jejudo Island. 2018, 한국식물분류학회지
- Two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of an endangered orchid species, 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Orchidaceae), in Korea. 2018, Mitochondrial DNA Part B-Resources
- 다도새우난초(난초과): 새우난초속의 한반도 미기록종. 2010, 식물분류학회지
- 태백취, 취나물속의 일신종. 2007, 식물분류학회지
82014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제9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조홍섭(한겨레신문 환경전문기자)
수상공적
- 생태 현장에서 식물, 동물, 사람들과 함께 하는 언론인으로서 30여 년 동안 심층 취재 및 보도를 통해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보전에 업적
- 2017.4-현재 : 한겨레신문 애니멀피플팀 기자
- 1988.3-2017.4 : 한겨레신문 환경전문기자, 논설위원
- 2011-현재 : 한겨레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운영
- 2005 : 교보생명환경문화상
- 2001 : 환경운동연합 녹색언론인상
- 1997 : 환경유공자 국민포장
- 1985-1988 : 과학동아 기자
- 1982-1985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과학담당 간사
- 황소개구리 보도(1991년)
- 새만금 사업 보도
- 매향리 미군 사격장 보도
- 핵폐기물 처분장과 핵발전 문제 보도
- 4대강 사업 보도와 논평
- 다윈의 섬 갈라파고스. 2018, 지오북
- 자연에는 이야기가 있다. 2013, 김영사
- 한반도 자연사 기행. 2011, 한겨레출판
- 생명과 환경의 수수께끼. 2005, 고즈윈
- 프랑켄슈타인인가 멋진 신세계인가. 1999, 한겨레신문사
- 이곳만은 지키자. 1993. 한겨레신문사(공저)
92013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신현철 교수)

제8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신현철(순천향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한반도 식물의 학술연구와 국가 적색목록집 발간
- 2009 : 한국보전생물학회 회장
- 1994-현재 : 순천향대학교 교수
- 1989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대학론, 대학을 공부하다. 2017, 소명출판
- 진화론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2016, 컬쳐룩
- Vascular plants of Dokdo and Ulleungdo Islands in Korea. 2014, 국립생물자원관
- 보전생물학(역). 2013, 월드사이언스
- 진화학. 2012, 한국매크로힐(주)
- 생물다양성은 우리의 생명. 2010, 궁리출판
-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의 분류학적 실체. 2018, 식물분류학회지
- 다시 진교를 찾아서. 2017, 식물분류학회지
- Molecular Evidence for Hybrid Origin of Aster chusanensis, an Endemic Species of Ulleungdo, Korea. 2014, Journal of Plant Biology
- 한국산 신종, 설악솜다리. 2012, 식물분류학회지
- A new combination in Spiraea (Rosaceae) from Ulleungdo Island, Korea. 2011, Novon
102012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선병윤 교수)

제7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선병윤(전북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한반도 식물의 학술연구와 신종 및 미기록종 발굴
- 2009-2010 : 한국식물분류학회 회장
- 1982-2018 : 전북대학교 교수
- 1982-2018 : 전북대학교 식물표본관 관장
- 1986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한국의 화분Ⅰ(Pollen of Korea Ⅰ). 2000, 생명공학연구소
- 독도 인근해역의 환경과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제 2부 독도 주변 해역의 수중생물상 및 수산자원-독도의 관속 식물상. 1998, 독도연구보전협회
- Evolution and Speciation of Island Plant. Chapter 9. 1988, Cambridge Univ. Press
- Genetic consequences of anagenetic speciation in Acer okamotoanum (Sapindaceae) on Ullung Island, Korea. 2012, Annals of Botany
- The Complete Chloroplast DNA Sequenc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Araliaceae); Comparative Evolutionary Analyses with Other Three Asterids. 2012, Mol. Cells
- Extremely low levels of genetic variation in the critically endangered monotypic fern genus Mankyua chejuense (Ophioglossaceae) from Korea: implication for conservation. 2010,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 A new species of Tritomaria (Lophoziaceae) from the Korean peninsula. 2009, Arctoa
- Mankyua (Ophioglossaceae) : a new fern genus from Cheju Island, Korea. 2001, Taxon
- New Taxa and Combinations in Eleutherococcus (Araliaceae) from EasternAsia. 2000, Novon
112011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이병천 연구관)

제6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이병천(전 국립수목원 연구관)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학술연구와 자생지 내외 보전
- 2013-2016 산과자연의 친구 우이령사람들 회장
- 2008-2013 산림청 국립수목원(임업연구관)
- 2002-2008 산림청 국립수목원(임업연구사)
- 1987-2002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임업연구사)
- 1985-1993 경북대학교 임학과 산림생태학(박사)
- 2014 : 한국환경기자클럽 올해의 환경인상
- 2012 : 공로연수공로패(산림청장)
- 2012 : 으뜸산림공무원표창(산림청장)
- 2005 : 모범공무원표창(국무총리)
- 2004 : 산림사업유공표창(농림부장관)
122010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창렬 원장)

제5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창렬(한국자생식물원원장)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자생지 내외 보전
- 2008년 : 신구대학 식물원 고문
- 2007년-현재 : LG상남수목원 자문위원
- 2007년-현재 : 서식지외보전기관협의회 회장
- 2003년-현재 : 사립식물원연합회 회장
- 2000년 : 행정자치부 신지식인 선정
- 1999-현재 : 한국자생식물원 원장
- 1999년-2002년 : 국립 유명산자생식물원 조성
- 1997년 : 중앙일보사 “한국을 움직이는 인물들” 선정
- 1997년 12월 : (사단)법인 자생식물단체연합회 창립 및 회장 역임
- 1995년 : 한국일보 “한국의 야생화” 1년간 연재
- 1995년 :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수료
- 1994년-1998년 : 덕유산 국립공원 무주리조트 생태식물원 조성
- 1994년-1995년 : 임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야생화 캔재배 연구(한국특허획득)
- 1993년 9월 : 프랑스 오를레앙 화훼박람회 우리꽃 전시
- 1993년-1998년 : (사단법인) 한국자생식물협회 창립 및 1,2,3대 대표이사
- 1983년 5월 : 한국자생식물원 개원(경기도)
- 「할미꽃 전설을 아십니까?」 - 우리꽃 재배 지침서
- 「자생식물 저변 확대 방안」 -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논문
- 계간 「한국의 야생화」
- 2004년 “한국의 야생화” 한겨례신문 연재
- 1992년 : 문화부장관상 수상
- 2001년 11월 : 한국관광대상 수상
- 2001년 11월 : 대통령 표창 수상
- 2002년 11월 : 대산농촌문화상 대상 수상
- 2007년 6월 : 환경부장관 표창 수상
- 2009년 10월 : 국민포장 수상
132009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문순화 회장)

제4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문순화(원로 식물 및 산악사진가)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조사와 홍보(기록)
- 한국산악사진가회 회장 역임
- 한국사진작가협회 자문위원
- 옥조근정훈장
- 건설부 근무(37년)
- 대한민국 사진전람회 초대작가
- 25회 대한민국 예술전람회 특선
- 해군 정동사진 교육 수료(1954)
-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풀과 나무 200가지(사진). 2006, 모두북스
- 가을꽃. 2005, 교학사
- 여름꽃. 2004, 교학사
- 봄꽃. 2003, 교학사
- 가을에 피는 우리 꽃 336(사진). 2004, 신구문화사
- 여름에 피는 우리 꽃 386(사진). 2003, 신구문화사
- 사진으로 보는 아름다운 우리산하. 2002, 깊은솔
- 설악산의 꽃. 1997, 교학사
- 한라산의 꽃. 1996, 산악문화
142008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구연봉 연구관)

제3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구연봉(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조사와 연구
- 2011-현재 :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장
- 2007-현재 :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 1997-2006 : 인하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이학박사)
- 1995-2007 :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연구사
- 1992-1994 :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이학석사)
- 1986-1992 :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이학사)
- 2001-201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전국분포조사
- 2001-2006 멸종위기야생식물의 생육실태, 유전적 다양성과 보전
- 2010-201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지정, 관리 기준 마련 및 Red Data Book 발간
- 2012-현재 미생물(藻類, 균류, 원핵생물) 신종/미기록종 발굴, 배양체 확보∙관리, 유용성 탐색
- 1997-2006 : 한국의 멸종위기식물 섬시호, 둥근잎꿩의비름, 매화마름의 유전 다양성과 개체군 분화
152007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박수현 연구원)

제2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박수현(전 고교교사, 전 국립수목원)
수상공적
- 한반도 식물상 및 식물보전 분야 연구와 교육
- 1999-현재 : 국립수목원 초빙연구원
- 1999 : 교보환경문화상 대상
- 1965-1999 : 인창고등학교 교사
- 1965 : 성균관대 대학원 이학석사
- 한국의 외래ㆍ귀화 식물. 1996, 대원사
-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1995, 일조각
-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2009, 일조각
- 한국식물도해도감1 벼과. 2004, 국립수목원
- 한국식물도해도감2 양치식물. 2008, 국립수목원
- 한국식물도해도감4 사초과. 2016, 국립수목원
- 쉽게 찾는 한국의 귀화식물. 2012, 국립수목원
-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2016, 지오북
-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 애기석잠풀과 향용머리. 2016, 식물분류학회지
- 미기록 외래식물: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 유럽패랭이(석죽과). 2015, 식물분류학회지
- 한국 미기록 식물: 갯바늘골(사초과). 2015, 식물분류학회지
-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산형나도별꽃, 갈퀴지치. 2014, 식물분류학회지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1-18). 1992-2003, 식물분류학회지
162006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오연숙 회장)

제1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오연숙(교사, 한국교사식물연구회 2대 회장)
수상공적
- 국내 미기록 희귀식물 “나도여로” 발견
- 2009-현재 : 한국식물분류학회 사회교육위원
- 2007-2008 : 환경부 사단법인 한국교사식물연구회 회장
- 2004-현재 : 환경부 사단법인 한국교사식물연구회 회원
- 1987-현재 : 중등교사
- 플로라 조사, 보고서 발간 및 표본 확보(덕항산 등 14개 산 및 지역). 2005~2018.
- 국립생물자원관 ‘중부지역의 준분류학자를 통한 관속식물 표본 사업’참여, 보고서 제작, 논문 공저(제천의 관속식물상.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2013.
- 멸종위기식물 사진전 및 학교 순회사진전, 서울시과학전시관 야생화 체험 마당, 과학중점학교 식물캠프, 서울시 바이오블릿츠 등을 통한 식물교육. 2005~2018.
- 초중고 교사를 위한 자생식물워크숍, 교사 직무연수 ‘자생식물워크숍’, 중등 과학과 1․2급 정교사 자격연수 등을 통한 교사 연수 운영 및 강사. 2008~2018.
- 21세기 생태평화를 위한 환경 교과서 공저. 2007. 알마
- 학교 안 자연탐사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6. 현장과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