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생물보전대상



'동북아생물보전대상 (東北亞生物保全大賞)'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는 2006년부터 매년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연구에 공을 세운 분을 선정하여 ‘東北亞生物保全大賞’을 시상하고 있습니다.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500만원, 2018년 기준)이 수여되며, 본 상의 제정 취지에 맞는 공적을 세운 누구나 수상할 수 있으므로 전문 연구자뿐만 아니라 생물동호인도 수상이 가능합니다.

1~12회까지는 식물분야에서 신종 및 미기록 식물 발굴과 멸종위기종 보전에 기여한 분들께 ‘東北亞植物人賞(동북아식물인상)’이라는 이름으로 시상해 왔고, 2018년 13회부터는 생물 전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상의 명칭을 ‘東北亞生物保全大賞(동북아생물보전대상)’으로변경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선정위원회

  • 이우신-위원장, 동물학(포유류, 조류), 전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
  • 이도원-식물학(생태), 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 신준환-임학(산림생태), 전 국립수목원장
  • 한삼희-언론, 조선일보 논설위원
  • 조홍섭-언론, 한겨레 국장
  • 이완옥-동물학(어류), 전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 임 항-언론, 전 국민일보 국장
  • 이승환-동물학(곤충), 서울대학교 응용생물학부 교수
  • 장주영-법학, 법무법인 상록 변호사
  • 조강현-식물학(생태), 인하대학교 교수
  • 김영동-식물학(계통), 한림대학교 교수
  • 권희정-생물교육학, 생물다양성교육센터 대표
  • 강승일-경제학, 전 삼미상사 대표이사
  • 현진오-식물학(분류),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대표

역대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2006~2023년까지 수상하신 분들입니다.
12023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임영운 교수)

제18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임영운(서울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19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버섯의 형태분류와 함께 최신 연구기법을 통해 많은 신종과 미기록종을 발굴함으로써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구명에 공헌
수상자 소개
  • 제18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인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임영운교수는 우리나라 버섯 연구에 힘써왔다. 19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버섯의 형태분류와 함께 최신 연구기법인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많은 신종과 미기록종을 발굴함으로써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구명에 공헌함은 물론이고 이 분야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30여 년 동안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통한 진균 분류와 계통 연구에 헌신하여 호박젖버섯, 침기계충버섯, 배꼽낙하산버섯 등 115종의 신종과 붉은달걀광대버섯, 갈색민그늘버섯 등 190종의 미기록 진균을 발굴하였다.
경력
  • 2003-2005: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Research Associate
  • 2006-2007: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연구교수
  • 2007-2010: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과 하등식물과장, 유전자원센터장
  • 2011-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조교수, 부교수, 교수
  • 2011-201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건립위원회위원
  • 2012-2019: 인제군정자문위원
  • 2014-2015: 안전혁신 마스커플랜 민간자문단 위원(행안부)
  • 2016-2018: 환경부 멸종위기종위원회 위원
  • 2014-현재: 국가생물적색목록위원회 위원
  • 2017-2021: 해양수산생명자원 전문위원회 위원
  • 2020-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자체평가위원
  • 2022.12-2024.12: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비상임이사
연구
    한반도 진균(Fungi)의 학술연구와 다수의 신종 & 미기록종 발굴하여 184편의 논문으로 발표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Young_Woon_Lim)
    1. 한반도 진균의 신종 미기록종 발굴
    - 전통적인 분류방법과 최신의 NGS기법을 이용한 버섯 분류와 계통연구를 수행
    - 한국의 버섯 신종(Irpex hydnoides YW Lim & HS Jung)을 미국 우수학회지인 Mycologia에 발표(2003). 이는 한국의 신종 버섯으로 국제적 학회지에 발표된 최초 사례이며, 이후 한반도에서 115종(진균 111종, 세균 4종)의 신종과 190종의 미기록종을 발굴하였음
    - 한반도 버섯과 해양환경에서의 진균 발굴을 통해 다수의 미기록종 발굴 - 진균 분류학의 최고 학술지인 Fungal Diversity (IF 14.08)를 포함하여 다수의 유수 국제 학술지에 주저자로 발표
    2. 진균의 학술적 연구
    - 한반도 미발굴종의 발굴뿐만 아니라 한반도 주요 목본식물과 고유종(새우난, 제주고사리삼)인 초본식물에 공생하는 균근을 NGS기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고, 한반도 진균자원의 주권을 주장하는 데 기여
    - 난분해성물질 분해능력이 우수한 진균을 발굴하여 플라스틱 분해, 환경오염물질 분해 등에 이용하는 등 환경보전연구에 기여
포상
  • 제25회 과학기술 논문상 (2015)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2016)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우수논문상 (2017)
22022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한성용 박사)

제17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한성용(한국수달연구센터 센터장)

수상공적
  • 30여 년 동안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수달 Lutra lutra (Linnaeus, 1758) 보존과 연구에 헌신하여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
수상자 소개
  • 제17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인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 센터장은 수달 종의 생태연구로 널리 알려진 동물학자이다. 과거 한국 수달에 관한 연구정보가 전무하던 198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달이라는 반수생 포유류에 대해 독보적인 연구 활동에 매진해 왔다. 아시아 최초로 수달 종에 대한 생태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1997)하였고, 한국의 수달 서식실태가 최초로 밝혀지는 계기가 되었다.
  • 수달은 평생을 수환경에서 살아가는 특성이 있어, 우리 자연하천의 생물다양성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핵심종(keystone species)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한국의 빠른 개발과정에서 하천 내 수달 서식지 환경은 크게 훼손되어 왔다. 하천제방의 콘크리트화 그리고 생태통로 단절은 수달의 안전한 은신처를 축소시켜 왔고, 다양한 위협에 노출되게 하였다.
  • 수상자는 수달이 처한 서식지 환경을 점차 개선하고, 종 보호 노력을 기울여 보고자 1999년부터 한국수달보호협회(전국 15개 지회,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국가지정관리단체)를 설립하여 현재까지도 끊임없는 수달 응급구조 및 보호 활동을 해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수달연구센터(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의 센터장을 2005년부터 역임하면서 멸종위기종 증식기술 및 서식지 복원기술 개발에도 전념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노력 덕분에, 한국 수달에 대한 과학적 보존기법들이 각종 하천개발사업이나 환경영향평가 과정에 적극 반영되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고, 수달이라는 동물의 보호 필요성이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널리 알려지게 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수상자의 수달에 대한 연구와 보호 노력은 이미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바 있어 1997년부터 세계자연보존연맹 수달전문가그룹(IUCN Otter Specialist Group)의 한국대표자로 위촉되어 세계적으로도 활발한 교류 활동을 해 왔다. 2007년에는 제10차 IUCN 국제수달총회(Xth IUCN International Otter Colloquium)를 한국에 유치하고, 대회 조직위원장으로서 세계 약 35개국이 참가한 국제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도 하였다. IUCN의 국제대회 유치는 한국과 세계 35개국 전문가들이 서로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에 북한 국적의 동물학자도 대외에 공식참가하게 되어 북한 지역의 수달 서식 정보를 드물게 확인할 수 있었던 귀중한 자리가 되기도 하였다. 더욱 최근인 2021년부터는 IUCN SSC(세계자연보존연맹 종보존위원회)의 정식 멤버로도 위촉되어 IUCN 기구와 더욱 긴밀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수상자는 수달 종 이외에도 다른 포유동물 종에 대한 다양한 연구 활동도 해 오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복원사업의 추진, 그리고 국립생태원의 종 복원정책 수립에 긴밀한 참여를 해 오고 있으며, 환경부의 국가멸종위기종위원회의 포유류 분과 위원으로서 멸종위기야생생물 종 지정 과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하면서 천연기념물 보호관리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연구 활동으로는, 강원도 DMZ 인접 민통선 일대의 야생 포유동물 조사를 통해 오랫동안 베일에 가려져 왔던 DMZ 지역의 사향노루, 수달, 산양, 붉은박쥐, 토끼박쥐, 담비, 무산쇠족제비와 같은 여러 동물의 서식 현황을 밝혀내고, 무인카메라 사진 촬영을 통해 얻기 힘든 귀중한 학술연구자료들을 도출해 내고 있다.
  • 남북한이 첨예하게 접하고 있는 DMZ 인접 민통선 지역을 대상으로 한 그동안의 연구정보 및 조사 경험들은 미래의 남북한 자연생태계 보전 논의에 활용될 수 있는 귀중한 정책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앞으로 남북한 공동 DMZ 국립공원 지정이라는 장기적인 연구주제를 가지고 끊임없는 생태연구 및 국제협력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2021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김명숙 교수)

제16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김명숙(제주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25년 동안 국내외 해조류 학술연구에 헌신하여 엷은도박속, 보라색우무털속, 새붉은실속 등 5개의 새로운 속(屬)을 발견하여 명명하고, 우도새민엷은잎, 황해새붉은실, 푸른잎붉은혀, 넓은큰갈파래 등 34종의 신종, 초록방석말 등 10종의 미기록 해조류를 발굴하는 성과를 거둠으로써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구명에 기여
업적
  • 25년간 50여 신종/미기록종 발표 및 104편의 연구논문 출판을 통한 해양식물자원 가치 발굴
  • 홍조류 계통지리 연구를 통한 개체군 보존 우선순위 제시(현재 진행중)
  • 해조류 문헌출판: 유용해조류의 목록, 생물량, 생태사진, 활용 등 정보제공
  • 생물자원 주권확립 관련 연구개발 수행(최근 5년간 10건)
  • 제주지역 환경문제 관련 연구개발 수행(2009년~현재)
  • 미개척생물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2013년~2018년)
  • 기초과학 보호학문분야 정책과제 수행(2018년)
수상
  • 2018년 제28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2018, 2015년 제주대학교 연구업적 우수교수상 (제주대학교)
  • 2018, 2017, 2016, 2011년 (사)한국조류학회 우수논문상 (한국조류학회)
  • 2017, 2011년 아시아-태평양 국제조류학회 우수논문상 (APPF)
  • 2013년 제10차 국제조류학회 최우수 포스터상 (IPC)
  • 2013년 제주대학교 강의평가 우수교수상 (제주대학교)
  • 2011년 한국연구재단 WISET 공로상
42020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우포따오기복원센터)

제15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

수상공적
  • 2008년 설립 이래 세계적인 멸종위기 조류이자 국내 절멸종인 따오기(Nipponia nippon (Temminck, 1835))를 대량 증식하는 데 성공하였고 2019년부터 자연 방사를 시작하는 등 따오기 복원 관련 연구와 재도입에 뛰어난 성과를 거둠으로써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함
연혁
  • 2008. 우포따오기복원센터 건립, 따오기 1쌍 도입, 경북대학교 사업위탁
  • 2009. 따오기 사육기술 이전 완료
  • 2010. 따오기 복원사업 창녕군청 직접운영, 우포늪관리사업소 직제 개편
  • 2011. 따오기 유전자다양성 확보를 위한 한중일 국제 세미나 개최
  • 2012. 따오기 야생복귀 및 서식지 관리를 위한 한중일 국제 심포지엄 개최
  • 2013. 한중 따오기 보호 양해각서 체결 및 따오기 수컷 2마리 추가도입
  • 2014. 중국, 일본의 따오기 서식지 현지조사 실시
  • 2015. 우포늪 일대 따오기 서식적지 관련 자문회의 개최
  • 2016. 따오기분산센터 건립 및 우포늪 일대 따오기 서식지 조성사업 실시
  • 2017. 따오기 보유 개체수 300마리, 따오기역사관(전시관) 건립
  • 2018. 따오기 야생방사를 위한 관계기관 회의 실시
  • 2019. 제1회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실시
  • 2020. 제2회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실시
수상
  • 2019년 5월 22일 대통령 기관표창 창녕군청 수상
52019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박규택 명예교수)

제14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박규택(강원대학교 명예교수)

수상공적
  • 백두뿔나방, 고려잎말이뿔나방 등 120여 신종 곤충을 기록하고, 이를 포함 전 세계에서 신종 680여 종을 기재
약력
  • 1983~2007: 강원대학교 교수, 농생대 학장
  • 1994~2013: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총괄부원장
  • 1998~2006: 한국동물분류학회장; 한국응용곤충학회장; 한국생물다양성협회장 역임
  • 2005~2008: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 2007 ~ 2012: 미국 University of Florida 초빙교수
수상
  • 송정곤충학상 (1993); 화농상 (1995); 한국곤충학상 (2008); 옥조근정훈장 (2008);
  • 삼일문화상 (2015); 은관문화훈장 (2018)
주요 저서 및 논문
  • 『자원곤충학』(2001), 『한국곤충대도감』(2012) 등 총37권
  • 남방뿔나방과(Lecithoceridae) 등 분류 관련 논문 350여 편
62018년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이완옥 교수)

제13회 동북아생물보전대상 수상자 이완옥(전남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부안종개, 황해볼락, 좀수수치 등 신종기재, 황점복 등 미기록 33종 발굴 및 멸종위기 담수어 보존 분야 연구에 업적
약력
  • 2018-현재 : 전남대학교 교수
  • 2016-2017 : 한국어류학회 회장
  • 2010-현재 :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이사
  • 1996-2018 :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1993 : 전북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물고기이야기. 2011, 뜨인돌어린이
  •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2006, 지성사
  • 물고기랑 놀자. 2006, 봄나무
  • 한강에서 만나는 새와 물고기. 2001, 지성사
  • 한반도에 출현하는 대황어 Tribolodon brandtii 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2018, 한국어류학회지
  • Multi-locus phylogenetic analyses support the monophyly and the Miocene diversification of Iksookimia (Teleostei: Cypriniformes: Cobitidae). 2018, Systematics and Biodiversity
  • Occurrence of exotic eels in natural waters of south Korea. 2017, Animal Cells and Systems
  •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섭식특징. 2017, 한국어류학회지
  • 왕피천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특징.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72017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영동 교수)

제12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영동(한림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연노랑괭이눈, 추산쑥부쟁이 등 신종 보고, 우리나라 식물다양성 구명 및 멸종위기식물 유전다양성 연구에 업적
약력
  • 2017-현재 : 한국식물분류학회 부회장
  • 1995-현재 : 한림대학교 교수
  • 1995-현재 : 한국식물분류학회 이사
  • 1995-현재 : 한국식물학회 이사
  • 1994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이학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신종 발표 (가지털괭이눈, Chrysosplenium ramosissimum). 2018, PhytoKeys
  • Seed Plants of Natma Taung National Park, Myanmar. 2017, 국립생물자원관
  • A checklist for the seed plants of Cambodia. 2016, 국립생물자원관
  • Biodiversity of Mt. Popa, Myanmar. 2014, 국립생물자원관
  • 식물계통학(역). 2011, 월드 사이언스
  •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2007, 아카데미 서적
  •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30 microsatellite loci for Plagiorhegma dubium (Berberidaceae). 2018, Applications in Plant Sciences
  • Ethnomedicinal plants and traditional knowledge among three Chin indigenous groups in Natma Taung National Park (Myanmar). 2018,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Genetic diagnosis of a rare myrmecochorous species, Plagiorhegma dubium (Berberidaceae): Historical genetic bottlenecks and strong spatial structures among populations. 2018, Ecology and Evolution
  •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based on Expressed Sequence Tags in Asparagus cochinchinensis (Asparagaceae). 2017, Applications in Plant Sciences
  • Cissus erecta (Vitaceae), a new non-viny herbaceous species from Mt. Popa, Myanmar. 2016, Phytotaxa
82016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최홍근 교수)

제11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최홍근(아주대학교 명예교수)

수상공적
  • 유전마름, 제주물부추, 참물부추, 한라물부추 등의 신종과 큰마름, 낙동나사말, 동아나자스말, 큰톱니나자스말 등의 미기록 수생식물종 다수 발견
약력
  • 2017-현재 :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 2008-2010 : 한국식물학회 회장
  • 2003-2004 : 한국식물분류학회 회장
  • 1991-2017 : 아주대학교 교수
  • 1986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1981-1991 : 경남대학교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 낙동강의 수생식물. 2014, 한림원출판사
  • 환경과 사회. 2007, 오름
  • 수생관속식물: 한국의 식물 V. 2000, 정행사
  • 생물과 환경 그리고 생물다양성. 1994, 아주대출판부
  • Biogeography of North Pacific Isoetes (Isoetaceae) Inferred from Nuclea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 Data. 2016, Journal of Plant Biology
  •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Indian Isoetes dixitei Shende based on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nd intron sequences of LEAFY. 2013, Aquatic Botany
  • Recognition of two major clades and early diverged groups within the subfamily Cyperoideae (Cyperaceae) including Korean sedges. 2013, Journal of Plant Research
  • Molecular systematics and character evolution of Typha (Typhaceae) inferred from nuclear and plastid DNA sequence data. 2011, Taxon
  • Speciation pathway of Isoetes (Isoetaceae) in East Asia inferred from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2010, American Journal of Botany
92015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임형탁 교수)

제10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임형탁(전남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조도만두나무 등 신종, 푸른가막살나무 등 미기록종 다수 발견
약력
  • 1989-현재 : 전남대학교 교수
  • 1988 : 東京大學 이학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한국식물지 국화아강 국화과. 2017, 정행사
  • 생명과학(지구의생명)(역). 2015, 탐구당
  • 한국산림자원식물특성연구(4). 2012, 임창피앤디
  •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Ⅰ-Ⅸ). 2004-2011, 뜰문화, 국립수목원
  • 한국 지네발란의 송분자와 결실률에 관한 연구. 2019, 한국생태학회지
  • Taxonomic recognition of 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 on Jejudo Island. 2018, 한국식물분류학회지
  • Two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of an endangered orchid species, 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Orchidaceae), in Korea. 2018, Mitochondrial DNA Part B-Resources
  • 다도새우난초(난초과): 새우난초속의 한반도 미기록종. 2010, 식물분류학회지
  • 태백취, 취나물속의 일신종. 2007, 식물분류학회지
102014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제9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조홍섭(한겨레신문 환경전문기자)

수상공적
  • 생태 현장에서 식물, 동물, 사람들과 함께 하는 언론인으로서 30여 년 동안 심층 취재 및 보도를 통해 대한민국 생물다양성 보전에 업적
약력
  • 2017.4-현재 : 한겨레신문 애니멀피플팀 기자
  • 1988.3-2017.4 : 한겨레신문 환경전문기자, 논설위원
  • 2011-현재 : 한겨레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운영
  • 2005 : 교보생명환경문화상
  • 2001 : 환경운동연합 녹색언론인상
  • 1997 : 환경유공자 국민포장
  • 1985-1988 : 과학동아 기자
  • 1982-1985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과학담당 간사
주요 보도 및 저서
  • 황소개구리 보도(1991년)
  • 새만금 사업 보도
  • 매향리 미군 사격장 보도
  • 핵폐기물 처분장과 핵발전 문제 보도
  • 4대강 사업 보도와 논평
  • 다윈의 섬 갈라파고스. 2018, 지오북
  • 자연에는 이야기가 있다. 2013, 김영사
  • 한반도 자연사 기행. 2011, 한겨레출판
  • 생명과 환경의 수수께끼. 2005, 고즈윈
  • 프랑켄슈타인인가 멋진 신세계인가. 1999, 한겨레신문사
  • 이곳만은 지키자. 1993. 한겨레신문사(공저)
112013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신현철 교수)

제8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신현철(순천향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한반도 식물의 학술연구와 국가 적색목록집 발간
약력
  • 2009 : 한국보전생물학회 회장
  • 1994-현재 : 순천향대학교 교수
  • 1989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대학론, 대학을 공부하다. 2017, 소명출판
  • 진화론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2016, 컬쳐룩
  • Vascular plants of Dokdo and Ulleungdo Islands in Korea. 2014, 국립생물자원관
  • 보전생물학(역). 2013, 월드사이언스
  • 진화학. 2012, 한국매크로힐(주)
  • 생물다양성은 우리의 생명. 2010, 궁리출판
  •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의 분류학적 실체. 2018, 식물분류학회지
  • 다시 진교를 찾아서. 2017, 식물분류학회지
  • Molecular Evidence for Hybrid Origin of Aster chusanensis, an Endemic Species of Ulleungdo, Korea. 2014, Journal of Plant Biology
  • 한국산 신종, 설악솜다리. 2012, 식물분류학회지
  • A new combination in Spiraea (Rosaceae) from Ulleungdo Island, Korea. 2011, Novon
122012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선병윤 교수)

제7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선병윤(전북대학교 교수)

수상공적
  • 한반도 식물의 학술연구와 신종 및 미기록종 발굴
약력
  • 2009-2010 : 한국식물분류학회 회장
  • 1982-2018 : 전북대학교 교수
  • 1982-2018 : 전북대학교 식물표본관 관장
  • 1986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한국의 화분Ⅰ(Pollen of Korea Ⅰ). 2000, 생명공학연구소
  • 독도 인근해역의 환경과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제 2부 독도 주변 해역의 수중생물상 및 수산자원-독도의 관속 식물상. 1998, 독도연구보전협회
  • Evolution and Speciation of Island Plant. Chapter 9. 1988, Cambridge Univ. Press
  • Genetic consequences of anagenetic speciation in Acer okamotoanum (Sapindaceae) on Ullung Island, Korea. 2012, Annals of Botany
  • The Complete Chloroplast DNA Sequenc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Araliaceae); Comparative Evolutionary Analyses with Other Three Asterids. 2012, Mol. Cells
  • Extremely low levels of genetic variation in the critically endangered monotypic fern genus Mankyua chejuense (Ophioglossaceae) from Korea: implication for conservation. 2010,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 A new species of Tritomaria (Lophoziaceae) from the Korean peninsula. 2009, Arctoa
  • Mankyua (Ophioglossaceae) : a new fern genus from Cheju Island, Korea. 2001, Taxon
  • New Taxa and Combinations in Eleutherococcus (Araliaceae) from EasternAsia. 2000, Novon
132011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이병천 연구관)

제6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이병천(전 국립수목원 연구관)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학술연구와 자생지 내외 보전
약력
  • 2013-2016 산과자연의 친구 우이령사람들 회장
  • 2008-2013 산림청 국립수목원(임업연구관)
  • 2002-2008 산림청 국립수목원(임업연구사)
  • 1987-2002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임업연구사)
  • 1985-1993 경북대학교 임학과 산림생태학(박사)
주요 업적
  • 2014 : 한국환경기자클럽 올해의 환경인상
  • 2012 : 공로연수공로패(산림청장)
  • 2012 : 으뜸산림공무원표창(산림청장)
  • 2005 : 모범공무원표창(국무총리)
  • 2004 : 산림사업유공표창(농림부장관)
142010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창렬 원장)

제5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김창렬(한국자생식물원원장)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자생지 내외 보전
약력
  • 2008년 : 신구대학 식물원 고문
  • 2007년-현재 : LG상남수목원 자문위원
  • 2007년-현재 : 서식지외보전기관협의회 회장
  • 2003년-현재 : 사립식물원연합회 회장
  • 2000년 : 행정자치부 신지식인 선정
  • 1999-현재 : 한국자생식물원 원장
  • 1999년-2002년 : 국립 유명산자생식물원 조성
  • 1997년 : 중앙일보사 “한국을 움직이는 인물들” 선정
  • 1997년 12월 : (사단)법인 자생식물단체연합회 창립 및 회장 역임
  • 1995년 : 한국일보 “한국의 야생화” 1년간 연재
  • 1995년 :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수료
  • 1994년-1998년 : 덕유산 국립공원 무주리조트 생태식물원 조성
  • 1994년-1995년 : 임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야생화 캔재배 연구(한국특허획득)
  • 1993년 9월 : 프랑스 오를레앙 화훼박람회 우리꽃 전시
  • 1993년-1998년 : (사단법인) 한국자생식물협회 창립 및 1,2,3대 대표이사
  • 1983년 5월 : 한국자생식물원 개원(경기도)
주요 저서/업적
  • 「할미꽃 전설을 아십니까?」 - 우리꽃 재배 지침서
  • 「자생식물 저변 확대 방안」 -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논문
  • 계간 「한국의 야생화」
  • 2004년 “한국의 야생화” 한겨례신문 연재
  • 1992년 : 문화부장관상 수상
  • 2001년 11월 : 한국관광대상 수상
  • 2001년 11월 : 대통령 표창 수상
  • 2002년 11월 : 대산농촌문화상 대상 수상
  • 2007년 6월 : 환경부장관 표창 수상
  • 2009년 10월 : 국민포장 수상
152009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문순화 회장)

제4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문순화(원로 식물 및 산악사진가)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조사와 홍보(기록)
약력
  • 한국산악사진가회 회장 역임
  • 한국사진작가협회 자문위원
  • 옥조근정훈장
  • 건설부 근무(37년)
  • 대한민국 사진전람회 초대작가
  • 25회 대한민국 예술전람회 특선
  • 해군 정동사진 교육 수료(1954)
주요 저서
  •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풀과 나무 200가지(사진). 2006, 모두북스
  • 가을꽃. 2005, 교학사
  • 여름꽃. 2004, 교학사
  • 봄꽃. 2003, 교학사
  • 가을에 피는 우리 꽃 336(사진). 2004, 신구문화사
  • 여름에 피는 우리 꽃 386(사진). 2003, 신구문화사
  • 사진으로 보는 아름다운 우리산하. 2002, 깊은솔
  • 설악산의 꽃. 1997, 교학사
  • 한라산의 꽃. 1996, 산악문화
162008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구연봉 연구관)

제3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구연봉(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수상공적
  • 한반도 멸종위기식물 조사와 연구
약력
  • 2011-현재 :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장
  • 2007-현재 :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 1997-2006 : 인하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이학박사)
  • 1995-2007 :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연구사
  • 1992-1994 :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이학석사)
  • 1986-1992 :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이학사)
주요 업적
  • 2001-201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전국분포조사
  • 2001-2006 멸종위기야생식물의 생육실태, 유전적 다양성과 보전
  • 2010-201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지정, 관리 기준 마련 및 Red Data Book 발간
  • 2012-현재 미생물(藻類, 균류, 원핵생물) 신종/미기록종 발굴, 배양체 확보∙관리, 유용성 탐색
  • 1997-2006 : 한국의 멸종위기식물 섬시호, 둥근잎꿩의비름, 매화마름의 유전 다양성과 개체군 분화
172007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박수현 연구원)

제2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박수현(전 고교교사, 전 국립수목원)

수상공적
  • 한반도 식물상 및 식물보전 분야 연구와 교육
약력
  • 1999-현재 : 국립수목원 초빙연구원
  • 1999 : 교보환경문화상 대상
  • 1965-1999 : 인창고등학교 교사
  • 1965 : 성균관대 대학원 이학석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한국의 외래ㆍ귀화 식물. 1996, 대원사
  •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1995, 일조각
  •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2009, 일조각
  • 한국식물도해도감1 벼과. 2004, 국립수목원
  • 한국식물도해도감2 양치식물. 2008, 국립수목원
  • 한국식물도해도감4 사초과. 2016, 국립수목원
  • 쉽게 찾는 한국의 귀화식물. 2012, 국립수목원
  •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2016, 지오북
  •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 애기석잠풀과 향용머리. 2016, 식물분류학회지
  • 미기록 외래식물: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 유럽패랭이(석죽과). 2015, 식물분류학회지
  • 한국 미기록 식물: 갯바늘골(사초과). 2015, 식물분류학회지
  •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산형나도별꽃, 갈퀴지치. 2014, 식물분류학회지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1-18). 1992-2003, 식물분류학회지
182006년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오연숙 회장)

제1회 동북아식물인상 수상자 오연숙(교사, 한국교사식물연구회 2대 회장)

수상공적
  • 국내 미기록 희귀식물 “나도여로” 발견
약력
  • 2009-현재 : 한국식물분류학회 사회교육위원
  • 2007-2008 : 환경부 사단법인 한국교사식물연구회 회장
  • 2004-현재 : 환경부 사단법인 한국교사식물연구회 회원
  • 1987-현재 : 중등교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플로라 조사, 보고서 발간 및 표본 확보(덕항산 등 14개 산 및 지역). 2005~2018.
  • 국립생물자원관 ‘중부지역의 준분류학자를 통한 관속식물 표본 사업’참여, 보고서 제작, 논문 공저(제천의 관속식물상.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2013.
  • 멸종위기식물 사진전 및 학교 순회사진전, 서울시과학전시관 야생화 체험 마당, 과학중점학교 식물캠프, 서울시 바이오블릿츠 등을 통한 식물교육. 2005~2018.
  • 초중고 교사를 위한 자생식물워크숍, 교사 직무연수 ‘자생식물워크숍’, 중등 과학과 1․2급 정교사 자격연수 등을 통한 교사 연수 운영 및 강사. 2008~2018.
  • 21세기 생태평화를 위한 환경 교과서 공저. 2007. 알마
  • 학교 안 자연탐사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6. 현장과학교육

2019년 3월 1일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

공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식물목록들 간에 서로 다른 학명과 국명을 사용하고 있어 발생되는 혼란을 줄이고자, 여러 자료를 토대로 정리한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을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라는 식물 5,382종류 학명과 국명을 담았습니다. 학명의 오류를 바로잡고 국명은 현행 맞춤법에 따라 수정·선택하였습니다. 또한 여러 학자들의 노력으로 밝혀진 신종과 최근에 들어온 귀화종을 추가하고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식물은 제외했습니다.

  본 식물목록의 이용과 배포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사용하면서 발견되는 학명의 오류, 학술연구에 의한 수정사항, 불편 사항 등 본 식물목록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시면 목록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 하루 이창을 그만 엽니다.